생활지식

비보호 좌회전 신호 운전 방법 주의사항

디에잇치 2024. 11. 11. 11:57
반응형

비보호 좌회전이란, 교차로에서 좌회전 신호가 따로 없는 경우 직진 신호에 좌회전이 가능한 것을 말합니다. 즉, 교차로에서 좌회전을 하려는 차량이 직진 차량의 통행을 기다리며 진행해야 하는 경우를 뜻합니다.

보호 좌회전은 좌회전 신호가 있을 때 좌회전을 하도록 허용되는 경우로, 이때는 직진 차량이 멈추고, 좌회전 차량은 안전하게 차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반면 비보호 좌회전은 좌회전 차량의 주행이 보호를 받지 못한다는 의미로, 직진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우선권이 주어지고 좌회전하려는 차량은 직진 차량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마주 오는 차량이 없을 때 좌회전이 가능합니다. 

비보호 좌회전은 녹색 신호에만 가능하며 직진 차량이 우선시 됩니다. 적색 신호에 좌회전 하게 될 경우 신호 위반으로 적발될 수 있고, 이 경우 승용차 기준 범칙금 6만원, 벌점 15점이 부과됩니다. 만약 사고가 발생 할 경우 맞은편에서 직진하는 차량이 도로 주행의 우선권을 갖고 있고 비보호 좌회전 차량에 과실 책임도 그만큼 크기 때문에 더욱 더 주의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비보호 좌회전에서는 직진 차량이 오는 방향을 주의 깊게 살펴 직진 차량의 통행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고, 교차로에서 끼어들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무리하게 좌회전을 시도하게 되면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 교차로에서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너고 있을 경우,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보행자가 있는 교차로에서는 반드시 보행자가 모두 건넜는지 확인한 후 좌회전을 진행해야 합니다.
비보호 좌회전이 가능한 교차로에서는 좌회전 할 차선을 미리 확보하고, 차선을 변경하면서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와의 충돌이 없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또한, 회전할 때는 직진 차선과의 간격을 충분히 두고 회전해야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비보호 좌회전 시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직진차와의 거리를 충분히 두고, 속도를 줄여서 교차로를 진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급하게 회전하면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와의 충돌 위험이 커지므로 반드시 속도를 줄여야 합니다.
비보호 좌회전을 할 경우 차량이 많거나 직진 차량이 많을 때는 서두르지 않고 충분히 여유를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보호 좌회전은 운전자가 교차로에서 직진 차량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고 안전하게 좌회전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규칙입니다. 항상 신호와 주변 차량을 확인하고, 안전하게 좌회전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보호 좌회전 시 정확한 신호 이해와 서행하는 운전 습관을 통해, 사고를 줄이고 안전하게 운전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