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속 단속 카메라는 과속으로 인한 교통사고 방지를 위해 설치된 장치로 제한 속도를 초과하는 차량에는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도로에서의 안전 운행을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도로에 설치되어 있으며, 주로 고속도로, 일반 도로, 스쿨존, 어린이 보호구역 등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과속 카메라는 고정식 단속, 이동식 단속, 구간 단속, 새롭게 도입된 연속 이동 단속 카메라까지 종류가 다양하고 일반적으로 특정 위치에 배치되며 특정 도로 구간에서 속도 제한을 시행하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 고정식 과속 단속 카메라
고정식 과속 카메라는 이름 그대로 한 곳에 고정된 단속 카메라로 운전 중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단속 카메라입니다. 고정식 과속 카메라는 노면에 20~30m 간격으로 심어진 두 개의 센서 사이를 차량이 통과할 때 걸린 시간을 통과 속도로 계산합니다. 첫 번째 카메라 센서는 60m, 두 번째 카메라 센서는 30m 떨어져 있는 지점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고정식 과속 카메라에 찍히지 않으려면 전방 100m 전부터 속도에 주의하시는게 좋습니다.
- 구간 과속 단속 카메라
구간 과속 단속 카메라는 단속 구간의 시작 지점과 종료 지점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거리를 측정하고 차량 이동 시간을 계산해서 평균속도를 계산하여 단속하는 방식입니다. 구간 단속 카메라는 평균 속도를 유지해야 하므로 고정식 단속 카메라에 비해 과속으로 인한 사고 예방에 뛰어나고 일정 속도로 운행하게 되어 차량 연료를 절감하고 배기가스 배출 감소 효과도 가져다줍니다. 다만, 단속 구간 중간 졸음쉼터, 휴게소 등 멈췄다 가게 될 경우 중간에 과속을 하더라도 산출되는 속도가 과속 기준에 미치지 않으면 단속 되지 않습니다. 구간 과속 단속 카메라의 측정 기준은 3가지로 시작 지점에서의 과속 여부, 종료 지점에서의 과속 여부, 해당 구간에서의 평균 속도를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 이동식 과속 단속 카메라
이동식 과속 단속 카메라는 도로변에 설치된 단속 부스에 설치된 카메라로 일반 국도, 고속도로에 많이 볼 수 있습니다. 필요에 따라 어디에나 배치할 수 있으며 주로 사고 위험이 높은 지역에서 사용됩니다. 이동식 과속 단속 카메라는 1초에 400여 개에 달하는 레이저가 차량에 닿았다 반사되어 돌아오는 속도를 기준으로 측정합니다. 이 때 측정값이 규정 속도보다 높다면 과속으로 적발됩니다. 또한 레이저 측정 거리가 1,200m에 달하기 때문에 카메라 앞에서 속도를 줄이는 방법으로는 단속을 피할 수 없습니다.
- 연속 이동 과속 단속 카메라
새롭게 도입 중인 연속 이동 과속 단속 카메라는 기존의 이동식 과속 단속 카메라부스를 약 2km 간격으로 2개 이상 연속으로 설치한 것입니다. 일정 구간 내에 2개의 카메라가 설치된 구간 단속 카메라와 동일한 효과를 볼 수 있으며 경부선 등 고속도로 18개소에 추가 설치 계획이라고 합니다.

과속 단속 카메라의 단속 기준은 도로의 종류와 위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일반 도로에서는 보통 50km/h~80km/h 사이의 속도 제한이 적용됩니다. 제한 속도를 10km/h 초과하는 경우 과태료나 범칙금이 부과될 수 있으며 초과 속도가 높을수록 벌점이나 면허 정지 등의 추가처벌이 있을 수 있습니다. 고속 도로에서는 보통 80km/h~120km/h의 속도 제한이 있고, 제한 속도를 20km/h 이상 초과할 경우 과속 단속 대상이 됩니다. 특히 터널 구간이나 곡선 구간에서 제한 속도가 낮아지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스쿨존 및 어린이 보호구역에서는 30km/h 이하로 속도가 제한 됩니다. 이 구역에서는 제한 속도를 1km/h만 초과해도 과태료가 부과되기 때문에 특별히 주의하셔야 합니다.
과속 단속에 적발 될 경우 벌금과 벌점이 부과되는데 과속의 정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며, 과속 단속에 반복 적발 시 더 큰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km/h 이하로 과속할 경우 벌금 3만원, 별점 없음, 20km/h~40km/h 초과 시 벌금 6만원, 벌점 15점, 40km/h~60km/h 초과 시 벌금 9만원, 벌점 30점, 60km/h 초과 시 벌금 12만원 이상, 60점 이상, 면허 정지가 부과됩니다.
과속 여부 및 과태료 조회는 경찰청교통민원24(이파인)에서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통하여 조회가 가능합니다. 조회 내역이 없다면 단속이 되지 않았거나, 당일이나 다음 날 조회할 경우 단속 적발 후 전산상 반영 전 일 수 있습니다.
과속으로 인한 교통사고는 인명 피해 등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속도를 준수하여야 합니다. 과속 단속 카메라의 의미와 과속 단속 기준을 잘 이해하고 숙지하여 모두 안전 운전 하시길 바랍니다.
'생활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회전 일시정지 신호 위반 범칙금 벌점 (0) | 2024.11.07 |
---|---|
24년 12월 이후 5인승 이상 차량 소화기 의무화 - 소화기 구매시 주의사항 (6) | 2024.11.04 |
주정차 위반 단속 시간 과태료 알림 문자서비스 (4) | 2024.10.22 |
회전교차로 통행 방법 사고시 과실 비율 (5) | 2024.10.22 |
깜빡이는 점멸 신호등 황색 적색 신호 통과 방법, 위반 시 벌금 벌점 (4) | 2024.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