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암 중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자궁경부암은 발병률이 높지만 증상이 거의 없어 조기발견이 어려운 암입니다.
그렇지만 백신을 통해 예방이 가능한 암이기도 합니다.

자궁경부암 예방접종은 자궁경부암의 원인중 70%에 해당하는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감염을 예방하는 백신입니다. 인유두종 바이러스는 자궁경부암 뿐만 아니라 질암, 생식기사마귀, 외음부암, 항문암을 발생시키고 예방접종 후에는 이런 질환의 96.7% 예방 효과가 있습니다.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백신은 서바릭스 2가, 가다실 4가, 가디실 9가가 있으며 가다실 9가가 가장 예방효과가 높은 백신입니다.
예방접종은 남녀 모두에게 권장하며 연령은 만 9세~26세, 여성의 경우 45세까지도 권장하고 있습니다.
가다실 9가를 제외한 서바릭스 2가, 가디실 4가는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에서 무료로 예방접종이 가능하며, 만 12~17세의 모든 여성청소년, 18~26세 저소득층 (차상위계층, 기초생활보장수급자,장애수당대상) 여성의 경우 해당됩니다.
접종 간격과 횟수는 나이에 따라 달라지는데, 권장되는 접종 간격에 맞춰 접종해야 면역체계 형성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기간을 맞춰 접종해야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만 9세~14세
이 시기에는 면역 반응이 가장 강력하고, 성 접촉 전 접종하는 것이 효과적이므로 가장 이상적인 시기입니다.
총 2회 진행되고 1차 접종일로부터 6~12개월 내에 2차접종을 합니다.
-만 15세~26세
만 15세 이상부터는 3회 접종하며, 1차 접종 2개월 후 2차, 2차 접종 4개월 후 3차 접종 하게됩니다.
접종 당일에는 발열이 생기는 경우가 많아 접종당일은 충분한 휴식이 필요하고 이밖에 근육통, 열감, 가려움, 접종부위 가려움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작용은 일주일 이내로 호전되고 드물게 마비, 발작, 이명이 나타날 수 있고 이런 경우에는 의료진에게 꼭 알려야 합니다.
자궁경부암의 경우 백신을 통해 예방이 가능한 암으로 꼭 접종 받아 예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건강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흰머리 새치가 나는 원인 관리방법 (2) | 2024.09.10 |
---|---|
2024 코로나 재유행 증상 순서 격리기간 (4) | 2024.09.06 |
염증은 낮추고 면역력은 높이는 좋은 음식 (2) | 2024.09.06 |
면역력 저하 증상과 원인 높이는 방법 (1) | 2024.09.06 |
자궁경부암 초기단계 이형성증 원인 검사 증상 및 치료 (2) | 2024.09.06 |